2013.03.17(월)
남녘땅으로 봄맞이 트레킹을 떠났다.
여수반도 끝자락 가막만과 여자만이 만나는 곳에 자리한 작은 섬 백야도로 가기 위해
사당역에서 16일 밤 12시에 출발하여 17일 새벽 5시가 조금 안되는 시간에 도착하였다.
백야도는 우리말로 흰 섬이다.
섬의 주봉인 백호산 정상의 바위들이 하얀 색을 띄어서 섬이 하얗게 보인다고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멀리서 보면 하얀 색 바위의 모습이 호랑이를 닮았고,
호랑이가 새끼를 품고 있는 모습이라 하여 백호산이라는 이름이 지어져 한때는 백호도라고 부르기도 했다.
백호산에는 봉수대와 백야산성이 있었고,
말을 사육하던 백야목장이 있었는데 목장은 논과 밭으로 변하였고,
백야산 성터와 산봉우리에는 봉화대의 기단 일부만 남아 있다.
섬으로 들어가려면 배를 이용해야 했지만 이제는 다리가 놓여져 다니기가 쉽다.
몽돌밭, 짐막골해수욕장과 화백해송림 등의 아름다운 경관으로 해마다 여름에 많은 피서객들이 찾는다고 한다.
1928년에 세워진 백야도등대는 최초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여수와 목포 간 항로의 길잡이 역할을 하고 있다.
오늘 일정은 사도~추도까지 가야하는데
사도로 가는 배 출항 시간이 8시라서 남은 시간 동안 백호산 등산을 하였다.
백호산은 3봉으로 이루어진 산인데,
산세가 범의 모양과 흡사하고 돌의 색이 흰 이끼 같다 하여 백호산이라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백호산 정상에서 바라보는 일출과 일몰 그리고 푸른 바다와 어우러진 남해의 모습이 절경을 이루고
또한 정상에는 산성터와 봉수대 흔적이 남아 있으며
등산로를 오르는 길에는 편백나무 숲과 삼나무 숲, 소나무 숲 등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다.
등산로 아래에는 백야 마을과 선착장, 백야등대 등이 보이며
멀리 금호도와 여천, 여수시가지의 모습, 돌산 방향의 모습,
우주 발사대인 나라, 사도와 팔영산, 남쪽의 다도해까지도 조망해 볼 수 있다.
등산로는 외길이고 돌계단과 나무계단이 잘 되어있어 큰 어려움은 없고
1봉의 넓은 바위는 잠시 쉬어가기도 좋으며 2, 3봉의 모습도 볼 수 있다.
3봉은 출입금지 구역이라 1봉을 지나 2봉을 우회하여 하산하여야 한다.
1봉에서 바라본 2,3봉
달빛이 물든 바다의 모습은 처음이라
신비롭게 느껴진다
동녘 하늘이 점점 밝아오며 섬들의 윤곾이 드러난다
선착장도 보이고
등대도 보이고
일출을 기다리는 사람들
달빛은 점점 사그라지고
아무래도 일출은 틀린 것 같아 포기하고 내려서는데
바위틈에 피어난 산자고가 발길을 붙잡는다
진달래가 벌써 피어나고
호랑이를 닮은 듯
삼나무 숲이 참 좋다
시간이 된다면 이 길도 걸어보고 싶다
오를 땐 깜깜해서 보지 못했던 등산지도가 있다
선착장으로 가는 길에
구름속에서 햇님이 나오려고 한다
가던 길을 멈추고 해맞이를 한다
선착장에서 바라본 백호산 모습
선착장에서 아침 햇살을 맞으며 도시락을 먹었다
사도가는 배가 도착했다
두더지를 닮은 섬도 보이고
머리는 바둑이를 닮았네!
거대 공룡을 닮은 섬도 보이고
참으로 많은 섬들이 보인다
사도 선착장에 도착하니
공룡이 반갑게 맞이한다
바다 한 가운데 모래로 쌓은 섬 같다하여 沙島라 불리는 이 섬은
여수가 거느린 365개 섬 중의 하나로'여수 10경'에 든 섬이다.
모래섬(사도)과 간데섬(가운데섬, 중도), 진대섬(장사도), 나끝, 연목, 추도 등 7개의 섬이 올망졸망 둘러 앉아있는데
이 중 사도와 추도에만 마을이 있다.
추도와 장사도를 제외하고는 걸어서 둘러 볼 수 있는데,
해마다 음력 정월대보름과 2월 영등, 4월 말 등 연간 5~6차례 현대판 모세의 기적으로 불리는 신비의 바닷길이 열린다.
앞에 보이는 섬은 낭도다
사도교로 연결된 중도
민들레도 활짝 피고
큰개불알풀도 만발하고
처음으로 등대풀꽃도 만났다
'◈나의 믿음 > ♣교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오름' 백서른네 번째 산행-백호산~사도~추도 1-3 (0) | 2014.03.26 |
---|---|
'산오름' 백서른네 번째 산행-백호산~사도~추도 1-2 (0) | 2014.03.26 |
'산오름' 백서른세 번째 산행-관악산(오봉~팔봉능선) 51 (0) | 2014.03.09 |
'산오름' 백서른두 번째 산행-태안 학암포 해벽둘레길 1-3 (0) | 2014.02.27 |
'산오름' 백서른두 번째 산행-태안 학암포 해벽둘레길 1-2 (0) | 2014.02.27 |